StepN // 백서 뽀개기 1. What is & Why StepN, 게임 시작하기
포스트
취소

StepN // 백서 뽀개기 1. What is & Why StepN, 게임 시작하기

목차

What is and Why StepN?

StepN에 대한 나의 정의를 말해보자면 “운동/걸음/지방을 토큰으로 스왑하는 Solana기반 Web3 Game/Social-Fi 플랫폼 혹은 프로토콜”이다. 이 정의는 운동/걸음/지방을 토큰으로 스왑, Web3, Game/Social-Fi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운동/걸음/지방을 토큰으로 스왑은 StepN의 핵심 개념인 Move2Earn을 말한다. 즉, Play2Earn이 게임을 즐기면서 돈을 번다면, Move2Earn은 운동하고 움직이면서 돈을 번다. 이 부분이 Web3 세상과 현실의 접점이다. 현실에서의 활동, 운동은 Web3의 토큰으로 환산되고, 더 많은 토큰과 NFT는 다시 현실의 더 많은 운동으로 연결된다.

Game/Social-FiMove2Earn을 더욱 재밌게 만드는 요소이다. 매년 초, 사람들의 결심 1순위라고 생각하는 다이어트. 연말에 되돌아보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성공했을까. 이유는 동기와 재미가 없어서라고 생각한다. StepN은 운동에 동기부여를 강하게 제공한다. (아직 개발중인 기능이지만) 사람들과 순위경쟁도 하고, 목표치를 설정하고 달성도 한다. 그리고 이게 경제적 활동으로써 토큰을 벌어주기도 한다. 실제로 나와 주변, 다른 유저들 얘기를 들어보면, 평생 안걷던 사람도 매일매일 귀찮아도 걸으러 나간다.

Web2에 Nike Run Club이 있다면 Web3에는 StepN이 있다. Web3는 이 프로젝트의 활동무대이자 근간이다. StepN이 돌아가는 코드들, 토큰 이코노미는 유저들이 필요한 것들을 제공하고 유저들은 자유롭게 사고 팔고 뛰고 번다. 모든 활동은 Solana 위에서 돌아간다.

아직 크립토씬에 들어와있는 사람은 정말 적다.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이 작은 사람들에서 더 많은 파이를 가져오거나 밖에 있는 사람들을 끌어와야하는데, Move2Earn을 모토로 하는 StepN은 후자에 제격이라고 생각한다. 아직 신발 렌탈 등 더 많은 기능이 개발 될 예정인 오픈 베타로써 STILL EARLY?!

게임 시작하기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1) StepN 어플을 받고 2) 가입하여 인앱 지갑을 만들고 3) 신발을 준비하면 된다.

1. 어플 다운로드

어플은 링크트리 아래에서 아이폰, 안드로이드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2. 가입하여 인어플 지갑 만들기

어플에 들어가면 이메일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가입 후에는 오른쪽 상단 지갑 아이콘을 통해 지갑을 만들어야 한다. 이 때 등장하는 12개 단어는 일종의 비밀키인데 다시 보여주지 않으니 스샷도 찍고 어디에 꼭 적어두자. 지갑을 복구할 때 사용된다.

StepN에는 지갑 (Wallet)과 Vault가 존재하는데, 지갑은 StepN과 외부 지갑 사이에서 주고 받는 역할을 하며, Vault는 어플 안에서 최소한의 수수료로 빠르게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3. 신발 준비하기

신발 (sneakers)는 StepN의 핵심 NFT이다. 신발이 없다면 그저 Move에 불과하다. 신발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1) 이벤트를 통한 에어드랍과 2) 구매 3) 렌트가 있다.

이벤트는 퀴즈, 트위터 스페이스 참여를 통한 뽑기 등 디스코드와 트위터 채널에서 이루어진다.

보다 빠르게 얻고 싶다면 구매를 할 수도 있다. Magic Eden과 어플 안에 마켓에서 구할 수 있는데, 현재는 어플 안에 마켓에 대부분의 물량이 있는 듯 하다. 앞에서 만든 지갑으로 솔라나 (SOL)을 보내기 -> 지갑에서 Valut로 솔라나 전송하기 -> 마켓에서 구매하기를 거쳐 신발 혹은 신발 박스를 살 수 있다. (2022년 2월 18일 기준 FP 약 7~8솔)

마지막으로는 렌트도 있는데, 다른 사람의 신발을 빌려서 뛸 수 있다. 채굴량의 일정부분을 떼주는 Play2Earn의 스콜라쉽같은 개념인데, 현재 기능 개발중으로 불가능하다.

게임 준비 끝!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인기 태그